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이민찬 기자, 대선 때 생각해서 개표가 진행될수록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에게 유리하게 흘러갈 걸로 예상했는데, 오히려 정반대였어요. <br><br>지난 3월9일 대통령 선거 개표 당시를 돌아보면요. <br><br>박빙 상황에서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를 역전한 게 10일 0시 30분쯤입니다. <br> <br>윤 후보는 이후 한 차례도 선두를 내주지 않았는데요. <br> <br>이번 경기지사 선거에서 자정이 넘어설 때까지 김은혜 후보가 선두를 지키자 역전은 어려울 것이다, 이런 예측이 나왔죠. <br> <br>하지만 이번엔 새벽 5시32분에 결과가 뒤집히면서 그 예상이 빗나간 겁니다.<br><br>Q. 대선과 뭐가 달랐나 보면, 이번엔 사전투표를 무조건 먼저 개봉하는 게 아니었다고 하죠?<br> <br>지난 대선 때는요, 코로나19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투표보다 사전투표를 먼저 개봉하란 지침이 있었는데요. <br> <br>이번 지방선거에선 그 지침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지역 상황에 맞게 개표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본투표와 사전투표를 가리지 않고 개표를 실시했는데요. <br> <br>취재를 해보니까, 부천과 화성, 의정부 등의 사전투표함이 막판에 열렸다고 합니다. <br><br>Q. 그 사전투표에서 김동연 후보 표가 많이 나와서 역전됐다고 봐도 될까요? <br><br>비밀투표다 보니 단정할 수는 없겠죠. 하지만 전혀 영향이 없었다, 이렇게 말할 수도 없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부천과 화성은 대표적인 민주당 강세 지역이죠. 김동연 후보는 두 곳에서만 김은혜 후보보다 각각 2만표 이상 앞서면서 역전에 성공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> <br>두 후보의 표차가 8900여표인 점을 감안하면 개표 막바지에 강세지역에서 나온 몰표가 결과에 영향을 줬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경기도민들이 도지사는 김동연 후보를 선택했지만, 도의회 상황은 다른거 같아요? <br><br>앞으로 4년 동안 절묘한 동거가 예상 됩니다. <br><br>경기도의회 의석을 보면요, 민주당과 국민의힘, 전체 156석을 정확히 절반인 78석씩 나눠 가졌습니다. <br> <br>4년 전 민주당이 전체 의석의 95%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확연히 달라졌죠.<br> <br>각종 안건을 처리하려면 재적의원 과반 출석이 필요한 만큼 앞으로 김동연 당선인은 국민의힘 협조가 필수적인 상황입니다. <br><br>Q. 김은혜 후보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대변인을 지내다 곧바로 출마를 했었죠. '윤심' 논란이 있었는데요. 윤심이 선거에 도움이 된 건가요? <br><br>절반만 통했다, 이렇게 보면 될 것 같습니다. <br> <br>근소한 차이긴 하지만 결과적으로 경기도지사 자리를 민주당에 내주게 됐죠. <br> <br>하지만 경기도 31개 기초단체장의 선거 결과만 보면요. <br> <br>국민의힘이 22석, 민주당이 9석을 차지했습니다. <br> <br>김은혜 후보는 패배했지만, 기초단체장의 3분의 2 가량을 이긴 만큼 국정과제를 수행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아는 기자, 이민찬 기자였습니다.